Latch
Latch
정보를 catch하고 hold할 수 있는 메모리 소자.
SR latch
Set과 Reset이라는 두개의 입력을 사용한다.
- S = 1, R = 0 이면, Q = 1
- S = 0, R = 1 이면, Q = 0
- S = 0, R = 0 이면, hold
- S = 1, R = 1 이면, undefine 오류가 발생한다.
처음 두개의 인풋이 들어올 때, 정보를 catch하고,
세번째의 경우, 정보를 hold 한다고 볼 수 있다.
문제점
▲S와 R의 input은 동시에 변하는게 아니다. 따라서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.
SR latch with control input
목표: Enable을 추가함으로써 SR 11을 방지한다.
control input 즉, Enable을 추가함으로써, 잠시 신호를 차단해둘 수 있게되었고, 안정성이 확보되었다.
C | S | R | Next State of Q |
---|---|---|---|
0 | X | X | Hold |
1 | 0 | 0 | Hold |
1 | 0 | 1 | Q = 0; Reset state |
1 | 1 | 0 | Q = 1; Set state |
1 | 1 | 1 | Undefined |
어차피 C가 홀드를 결정하기 때문에 더 이상 SR로 홀딩할 이유가 없어졌다.
따라서 100과 111을 없애 구조를 단순화 시킨 latch가 탄생했다.
그것이 바로 D latch이다.
D latch
구조적 단순성을 갖춘 직관적인 latch.
C | D | Next State of Q |
---|---|---|
0 | X | Hold |
1 | 0 | Q = 0; Reset State |
1 | 1 | Q = 1; Set state |